조상님 또는 친지의 영가위패를 법당에 모시고 시방세계 불ㆍ보살님과 일제현상을 보시고 권공, 예배함과 동시에 대령, 관욕, 독경, 법문 등으로 영가의 길을 밝혀줍니다.
천도재
돌아가신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한 의식입니다. 독경, 법문, 시식, 불공 등 여러의식을 행하고 49재, 100일재, 연년기재, 소상, 대상 등의 천도재가 있고 수륙재, 일반천도재, 7일부터 7ㆍ7재와 100일째 소상, 대상 등 10번의 천도재가 있습니다. 명부시왕(冥府十王)에게 열번이나 심판을 받기 때문이며, 특히 염라대왕은 49일째 심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49재를 중요시 합니다.
일반기제사
매년 돌아가신 날을 추모하는 제사로 생활의 편의상 부처님 앞에서 모시기를 희망하는 분이 행합니다.
3년 위패모시기
재주 또는 영가와 인연 있는 분이 3년간 사찰영단에 위패를 모시고 스님들의 독경 염불소리를 듣고 천도를 기원하게 됩니다. 단, 매년 백중에도 회향과 함께 봉송의식이 있기 때문에 매년 새로 모시게 됩니다.
사갑
회갑을 맞지 못하고 돌아가신 분의 회갑을 맞이하는 재를 베푸는 행사입니다. 비명에 가신 영가의 중음계에서 헤매는 고통을 여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특별제사입니다.
명절제사
설, 추석, 기타명절에 모시는 제사로 현대생활에 쫒겨 고향 및 연고지에 가지 못하시는 불자님을 위해 절에서 합동으로 제사를 모셔드립니다. 시간은 오전 6시 ~ 11시이고 합동은 오전 10시입니다.